8월 경제 브리프 국내 GDP 성장률 및 주요 거시지표 전망
페이지 정보

본문
◈ 8월 경제 브리프 국내 GDP 성장률 및 주요 거시지표 전망
■ 경제 성장
- 2022년 국내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.6%에서 2.5%로 소폭 하향 조정함.
- GDP 지출항목별로는 서비스 수요 개선, 양호한 고용과 감세정책 효과를
반영하여 민간소비 전망치를 상향조정한 반면, 글로벌 성장률 둔화-금리인상
가속화를 감안하여 수출-설비투자-건설투자 전망치는 하향 조정함.
- 2022년 소비자물가는 수요측 물가 상승압력 증대, 원화 약세 장기화에 기인한
수입물가 부담 가중으로 당초 예상보다 큰 폭으로 상승함.(기존 전망 4.1% →
수정 전망 5.3%)
- 2022년 취업자는 기업 투자심리 위축, 기저효과 등 하방리스크에도 불구하고,
서비스업 고용 회복, 보건-복지 수요 증대, 제조압 일자리 확충으로 개선폭이
확대됨. (기존 전망 77만명 → 수정 전망 79만명)
- 2022년 경상수지는 국제유가 등 원자재가격 강세에 따른 상품수지 약화를
반영하여 흑자폭이 크게 축소함.(기존 전망 525억 달러 → 수정 전망 485억 달러)
- 2022년 통합재정수지는 재정 건전성 강화를 위한 지출 구조조정 방안에도 불구하고,
대규모 추경(22년 5월 발표) 집행으로 기존 예상 수준의 적자(-86조원)를 유지함.
- 2022년 주택매매가격은 상반기까지 오름세를 보였으나, 하반기에는 공급확대 기대심리와
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하락 전환함. (기존 전망 1.87% → 수정 전망 -2.3%)
■ 8~9월 주요 거시지표 전망
- 통관수출은 성장세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상: 6월(실적, 전년동월비, %)
5.2% → 7월(실적) 9.4% → 8월(전망) 8.1% → 9월(전망) 5.6%
- 광공업 생산은 감소로 전환될 전망: 6월(실적, 계절조정 전월비, %) 1.9% →
7월(추정) 0.3% → 8월(전망) -0.8% → 9월(전망) -1.3%
- 서비스업은 완만한 회복세가 이어질 전망: 6월(실적, 전월비 , %) -0.3 → 7월(추정)
1.3% → 8월(전망) 0.5% → 9월(전망) 0.4%
-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오름폭이 다소 축소될 것으로 예측: 6월(실적, 전년월동월비 %)
6.0% → 7월(실적) 6.3% → 8월(전망) 6.3% → 9월(전망) 6.1%
- 취업자는 견조한 증가세를 이어갈 전망: 6월(실적, 전년동월비, 만명) 84 → 7월(실적)
83 → 8월(전망) 70 → 9월(전망) 65
출처: 우리금융경영연구소
첨부파일
-
20220823 8월 경제 브리프 수정.pdf (1.5M)
5회 다운로드 | DATE : 2022-09-05 15:29:37
- 이전글글로벌 유니콘 기업의 Z세대 공략법- 틱톡, 쉬인 사례를 중심으로 22.09.05
- 다음글한미 기준금리 역전, 외국인 자금이탈 촉발할까? 22.08.26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