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로벌 유니콘 기업의 Z세대 공략법- 틱톡, 쉬인 사례를 중심으로
페이지 정보

본문
◈ 글로벌 유니콘 기업의 Z세대 공략법
틱톡, 쉬인 사례를 중심으로
■ 서론: 중국 new player들의 도약
- 중국 혁신기업들의 약진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브랜드 영향력이 확대됨
- 틱톡과 쉬인 모두 Z세대 사이에서 대세가 되면서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함
■ 틱톡(TikTok): 쉽고(easy), 간단하고(simple), 재미있게(fun)
- 미국 숏폼 비디오 플랫폼 인수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인 성장세를 시현함
- 콘텐츠를 손쉽게 만들고 즐기고 싶은 이용자들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함
- 단순한 경험을 즐기는 Z세대 욕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사용자들의
크리에이터로서의 참여 기회를 확대함
■ 쉬인(SHEIN): 가격戰, 속도戰, 소셜 미디어戰
- 중국 패션 기업인 쉬인(SHEIN)은 Top3 SPA 브랜드를 추월하며 시장을 주도함
- 가격 경쟁력은 물론 이커머스 기업의 차별화된 경쟁력인 데이터 드리븐
(Data-driven) 전략을 활용해 패스트패션 업체로서의 입지를 구축함
- Z세대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홍보와 마케팅을 강화함
- 소비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 하울 콘텐츠는 브랜드 확산에 크게 기여함
■ 시사점
- 틱톡과 쉬인은 디지털 네이티브인 Z세대를 타겟으로 한 비즈니스 전략을 구사함
- 소비자가 스스로 알아서 즐기고, 브랜드 마케팅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
온라인 놀이터 공간을 마련한 것이 성공 요인으로 작용함
- 최근 기업들은 제품 및 서비스 홍보는 물론 고객경험 개선 및 비즈니스 기회
확장을 위해 소셜 미디어 전략을 강화함
- 국내 금융권도 Z세대를 겨냥한 SNS 마케팅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, 고객들의
자발적인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에 주력
출처: 하나금융경영연구소
첨부파일
-
Z세대의 온라인 놀이터로 성공하라.pdf (661.9K)
7회 다운로드 | DATE : 2022-09-05 15:31:40
- 이전글혁신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과제 22.09.15
- 다음글8월 경제 브리프 국내 GDP 성장률 및 주요 거시지표 전망 22.09.05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