혁신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과제
페이지 정보

본문
<국내 창업생태계 현황>
- 우리나라는 범부처 차원의 벤처창업 활성화 정책에 따라 2020년 제2의 벤처 붐이 조성되어 혁신 기반의 창업 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있음
- 정부는 세계 4대 벤처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제2벤처붐을 조성하는 등 국내 창업생태계를 글로벌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해 노력
- 하지만, 세계 4대 벤처 강국 도약을 위한 혁신 창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정부 주도의 지원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민간 기업의 역할과 지원 확대가 필요
<국내 창업생태계 주요 이슈>
- 수도권 중심의 창업 인프라와 자원 집중에 따라 지역 창업생태계의 불균형이 나타남
- 스타트업 이후 창업 기업이 성장, 투자 회수, 재투자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위해 대기업·중소기업·벤처기업 간 성장단계별로 협업할 수 있는 문화와 체계가 부족
- 대학의 고기술 창업 활성화 저조
- 스타트업 이후 스케일업을 통한 유니콘 기업 육성체계 부족
- M&A 등 회수(exit) 시장 활성화 저조
- 스타트업에 필수자원인 창업 인재 육성체계가 부족하여 4차 산업혁명 분야 고기술 창업 활성화를 저해
- 민간 제조창업 플랫폼(메이커 스페이스) 구축 및 확산이 부족
<국내 창업생태계 선진화를 위한 기업의 역할>
- 민간 기업의 CVC 투자 확대를 통한 스타트업 성장 지원
- 스타트업 M&A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 노력 필요
- 민간 기업과 스타트업과의 기술적 협업을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활성화 필요
- 스타트업과 민간 기업의 판로 연계를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
- 민간 주도의 업종별 맞춤형 창업교육 및 인재양성 프로그램 확대
- 대학발 고기술 창업의 적극적 참여와 지원
- 민간 협력형 메이커 스페이스 전문랩의 참여 확대
- 지역창업생태계의 균형발전에 역할 증대
<결론>
- 국내 창업생태계는 정부 주도의 많은 지원을 통해 양적·질적으로 크게 성장하였으나,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늰 부분들을 검토해보고 개선하여 창업 강국으로의 도약에 기여할 필요
<출처 : 대한상공회의소>
첨부파일
-
혁신 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과제.pdf (15.4M)
7회 다운로드 | DATE : 2022-09-15 16:37:32
- 이전글기존 신용 평가 모형 한계의 해결책 - 대안 신용 평가의 특징 및 전망 22.09.22
- 다음글글로벌 유니콘 기업의 Z세대 공략법- 틱톡, 쉬인 사례를 중심으로 22.09.05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