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년 WGSI 트렌드 분석과 시사점
페이지 정보

본문
●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2021.6월 국내 최초로 산출하여 발표 중인 ‘그린기업 주가지수’ WGSI(WFRI Green Stock Index)의 2022년 동향을 분석
● 2022년 WGSI 상승률은 1.8%로 전년(9.7%) 대비 둔화하였으나 KOSPI 수익률(△20.4%)을 크게 아웃퍼폼했으며, 샤프비율(위험대비수익률)도 △0.05로 KOSPI(△0.12)를 상회
- 2차전지 업종 내 대형사 3개사(LG에너지솔루션, 삼성SDI, SK이노베이션)를 제외한 상승률은 △18.2%로 KOSPI 수익률을 소폭(2.2%p) 상회
● 섹터 중에서는 2차전지와 재생에너지, 매출별로는 대기업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견조
● 업종별로는 전기차 판매 증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판매단가 상승효과가 컸던 2차전지(9.1%), 재생에너지 확대라는 정책적 수혜를 입은 태양광(9.3%)과 풍력(4.0%)이 견조한 Performance를 시현
- 반면 전기차(△26.2%)와 전기차부품(△19.6%)은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안(IRA) 시행에 따른 보조금 축소 우려감이 부각되면서 시가총액이 감소
● 매출액 규모별 수익률에 있어서는 대기업의 실적(+8.8%)이 압도적
- 중견기업은 2021년 중 유동성 장세 속 투자자금이 집중되면서 우수한 수익률(39,3%)을 나타냈으나, 2022년 들어 시중 유동성 위축과 KOSDAQ 약세 등으로 수익률이 크게 악화
● 우리금융경영연구소가 ‘Fama-French 3-Factor Model’을 통해 산출된 결과에 기반해 추정한 2023년 WGSI(기말기준) 상승률은 15% 내외에 이를 전망
- WGSI가 KOSPI를 Outperform하는 알파(α) 포트폴리오임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장기적 유망성은 여전히 유효
- 단, 업종별·기업 규모별 주가 차별화가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는 유의할 필요
<출처 : 우리금융경영연구소>
첨부파일
-
2022년 WGSI 트렌드 분석과 시사점.pdf (474.9K)
2회 다운로드 | DATE : 2023-01-05 14:59:37
- 이전글2023년 경제, 3高에서 3苦로 23.01.18
- 다음글2023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 결과 22.12.23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