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위상 진단과 정책 방향
페이지 정보

본문
[주요 내용]
■ 스타트업 분야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업정보 데이터베이스인 크런치베이스(Crunchbase)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위상을 평가하고, 정책과제를 도출
■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의 가장 큰 취약점은 글로벌 지향적 개방성의 부족으로 글로벌 연결성과 글로벌 접근성 제고가 중요하며, 이를 위해서는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위상 파악이 전제되어야 함
■ 크런치베이스에 수록된 글로벌 스타트업에서 한국의 스타트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~ 2019년 기준 약 1.0%
■ AI, iOS, IT 분야 등에서 국내 기업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으나, SW, E-Commerce 등에서의 비중은 감소
■ AI, iOS(Android), SW와 같이 글로벌 스타트업의 활동이 왕성한 분야에서 국내 스타트업 비중은 답보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이 분야 저변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
■ IT 분야는 기업 수로는 타 분야 대비 국내 스타트업의 비중이 큰 편이나, 펀딩액 규모에서 차이가 커 적극적인 스케일업 필요
■ Energy 분야의 경우 “그린 뉴딜”과 같은 정책 추진에도 Renewable Energy, Solar 분야의 주목할 만한 국내 스타트업이 없다는 점에서 Energy 분야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주력
■ Financial Services 분야는 국내 스타트업이 전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어 규제 완화를 포함하여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주력
■ Fashion 분야는 국내 스타트업이 Lifestyle, Retail 분야에서 최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, 기존 산업과 결합한 스타트업의 육성을 모색
출처 - 중소벤처기업연구원
*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첨부파일
-
2113_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위상 진단과정책 방향.pdf (7.9M)
20회 다운로드 | DATE : 2021-07-20 11:01:33
- 이전글2021년 세법개정안 21.07.28
- 다음글AI를 신약개발에 적용하는 국내 스타트업들 21.07.16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