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관리체계 가이드북
페이지 정보

본문
■ 안전보건관리체계란?
- 기업 스스로 사업장 내 위험요인을 발굴하여 제거·대체 및 통제 방안을 마련·이행하고,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체계
■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7가지 핵심요소
1. 경영자리더십
- 안전보건에 대한 의지를 밝히고, 목표를 정합니다.
- 안전보건에 필요한 자원(인력·시설·장비)을 배정합니다.
- 구성원의 권한과 책임을 정하고, 참여를 독려합니다.
2. 근로자의 참여
- 안전보건관리 전반에 관한 정보를 공개합니다.
- 모든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합니다.
-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합니다.
3. 위험요인 파악
- 위험요인에 따른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합니다.
- 산업재해 및 아차사고를 조사합니다.
- 위험기계·기구·설비 등을 파악합니다.
- 유해인자를 파악합니다.
- 위험장소 및 작업형태별 위험요인을 파악합니다.
4. 위험요인 제거·대체 및 통제
- 위험요인별 위험성을 평가합니다.
- 위험요인별 제거·대체 및 통제방안을 검토합니다.
-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이행합니다.
- 교육훈련을 실시합니다.
5. 비상조치 계획 수립
- 위험요인을 바탕으로 '시나리오'를 작성합니다.
- '재해 발생 시나리오'별 조치계획을 수립합니다.
- 조치계획에 따라 주기적으로 훈련합니다.
6. 도급·용역·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
- 산업재해 예방 능력을 갖춘 사업주를 선정합니다.
-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·운영 시 사업장 내 모든 구성원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.
7. 평가 및 개선
- 안전보건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합니다.
- '안전보건관리체계'가 제대로 운영되는지 점검합니다.
- 발굴된 문제점을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개선합니다.
<출처 - 고용노동부>
첨부파일
-
안전보건관리체계 가이드북_단면.pdf (19.7M)
20회 다운로드 | DATE : 2021-09-01 10:11:00
- 이전글우리나라 고용시장 5대 특징 분석 21.09.14
- 다음글2021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21.08.25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